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1

[독일역사] 카셀과 메르헨의 기억정치: 그림형제를 기억하는 방식 동화는 누구의 기억인가? 독일 중부의 도시 카셀(Kassel)은 오늘날 ‘동화의 도시’로 불린다. 도심 곳곳에 그림형제(Brüder Grimm)의 흔적이 스며 있으며, 동화 속 주인공을 형상화한 조형물과 동화 박물관, 학술 행사들이 도시의 문화정체성을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질문은 여기서 시작된다. 카셀이 기억하는 그림형제는 어떤 이미지이며, 그 방식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가?그림형제, 학자이자 수집가 야코프 그림(Jacob Grimm)과 빌헬름 그림(Wilhelm Grimm)은 단순한 이야기꾼이 아니다. 이들은 19세기 초 독일 민속학과 언어학, 문헌학의 기초를 닦은 지식인 계몽의 실천자였다. 이들이 카셀에 머물며 민중 설화를 수집하고 정리한 작업은 오늘날 우리가 아는 '그림 동화집(Grimms .. 2025. 5. 11.
[독일역사] 루터와 바르트부르크 성: 종교개혁의 피난처 종교개혁 이후의 도피, 그리고 은둔의 요새 1521년, 신성로마제국의 제국회의(보름스 회의)에서 마르틴 루터(Martin Luther)는 자신이 로마 가톨릭 교회의 부패를 고발한 저작들을 철회하라는 요구를 단호히 거부했다. 그 결과 그는 파문당하고, 생명의 위협을 받게 된다. 그러나 루터는 곧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의 보호 하에 은밀히 납치된 채로 바르트부르크(Wartburg) 성으로 피신하게 된다. 이 성은 단지 안전한 은신처가 아니었다. 종교개혁의 사상적 결실이 현실로 구체화된 공간이었다.성경 번역: 독일어, 신앙, 민중의 언어 루터는 바르트부르크에 은둔한 10개월 동안 신약성경을 그리스어 원문에서 독일어로 번역하는 작업에 몰두했다. 이는 단순한 언어 변환을 넘어, 당시 라틴어 중심의 성직자 권력.. 2025. 5. 10.
[독일역사] 바흐의 아이제나흐: 음악적 유산의 뿌리를 찾아서 음악과 신앙이 교차하는 도시 독일 튀링겐 주의 작은 도시 아이제나흐(Eisenach)는 유럽 음악사와 종교사의 중요한 지점을 품은 곳이다. 바로 이곳에서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Johann Sebastian Bach)**가 1685년 태어났으며, 또한 종교개혁가 마르틴 루터가 신약성서를 독일어로 번역한 바르트부르크 성이 위치해 있다. 바흐의 음악 세계가 단지 개인적 천재성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아이제나흐라는 도시의 역사·신앙·문화적 토양에서 뿌리내렸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바흐 가문의 음악 전통 바흐는 단순히 한 명의 위대한 작곡가가 아니라, 음악 가문에서 태어난 유산의 계승자였다. 그의 조부, 부친 모두 교회 음악과 관련된 직업을 가졌으며, 아이제나흐의 교회와 궁정은 바흐 가문이 활동했던 핵심.. 2025. 5. 9.
[독일역사] 하노버의 도시계획과 전후 복원: 전쟁과 재건의 기억 파괴의 도시에서 재건의 모델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북부의 도시 하노버(Hannover)는 연합군 공습으로 도시 면적의 절반 이상이 파괴된 주요 목표지 중 하나였다. 산업과 교통의 요지였던 만큼, 하노버는 반복적인 폭격에 노출되었고, 결과적으로 도시 중심부의 역사적 건축물 대부분이 소실되었다. 그러나 폐허 속에서도 하노버는 전후 독일 도시계획의 실험장으로 재탄생하며, 재건의 패러다임을 제시한 사례로 남는다.과거를 복원할 것인가, 미래를 설계할 것인가 전후 하노버의 복구는 단순한 재건축이 아니었다. 도시 당국은 폐허 위에 다시 전통적인 도시를 재현할지, 아니면 현대적 기능에 맞는 도시를 새로 설계할지를 두고 격론을 벌였다. 결국 선택된 방향은 '전면 재설계'였다. 기존의 좁고 복잡한 골목길 대신 .. 2025. 5. 8.
[벨기에역사] 색소폰과 근대 문화의 기원: 아돌프 삭스와 디넝의 음악 유산 뫼즈 강변의 작은 도시, 큰 울림의 시작벨기에 남부에 자리한 디넝(Dinant)은 중세 요새도시의 풍경을 간직한 채, 오늘날에도 조용하고 평화로운 분위기를 풍긴다. 하지만 이 작은 도시는 19세기 근대 음악 문화의 지형을 바꿔놓은 한 인물을 탄생시켰다. 그의 이름은 아돌프 삭스(Adolphe Sax), 색소폰의 발명자다. 디넝은 단순한 고향을 넘어, 소리로 역사를 바꾼 발명의 뿌리로 남아 있다.금속 세공의 전통, 음악 기술의 토대디넝은 중세부터 금속 세공으로 명성을 떨친 도시였다. 특히 뫼즈 강 인근의 풍부한 자원과 공예 전통은 청동 악기 제작의 중심지로 도시를 성장시켰다. 아돌프 삭스의 아버지 샤를 조셉 삭스는 디넝에서 악기를 제작하는 장인이었고, 그의 공방은 어린 아돌프에게 자연스러운 실습장이 되었다.. 2025. 5. 7.
[프랑스역사] 파리의 문화적 유산: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역사적 가치 고대부터 근대까지, 시간의 층을 품은 도시 파리는 단순한 수도 그 이상이다. 갈로로마 시대의 흔적부터 중세, 근세, 현대에 이르기까지 복합적인 역사 지층이 도시 곳곳에 켜켜이 쌓여 있다. 이 도시의 건축물, 거리, 강변은 단순한 공간이 아니라, 시대를 살아낸 흔적이자 유럽 문명의 결정체다.특히 유네스코는 1991년 파리 중심부의 '세느강 강변'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파리의 역사적 연속성과 건축적 조화를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세느강 좌우로 펼쳐진 유산은 인류 공동의 기억으로서 보존의 가치를 지닌다.센느강을 따라 흐르는 유산의 연결고리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파리 센느강 강변 구역은 루브르 박물관에서 에펠탑까지 이어지는 약 8km 구간을 포함한다. 이 안에는 루브르, 오르세, 콩코르드 광장, 앵발리.. 2025. 5. 6.